본문 바로가기

YTRE Music

변진섭 홀로 된다는 것 듣기/가사/앨범/유튜브/뮤비/반복재생/작곡작사

300x250
홀로 된다는 것\1128\10541746\0\1\kqKAeXMQjRA\https://blog.kakaocdn.net/dn/z13kj/btrp8qs4vO5/4F6gun6Abl3Ygcoks8C70k/img.jpg\

홀로 된다는 것 정보

 

작사 지예 작곡 하광훈 편곡 정지찬, 조커

 

 

Youtube Official

 

홀로 된다는 것 가사

 

아주 덤덤한 얼굴로
나는 뒤돌아섰지만
나의 허무한 마음은
가눌 길이 없네
아직 못 다한 말들이
내게 남겨져 있지만
아픈 마음에 목이 메어와
아무 말 못했네
지난날들을 되새기며
수많은 추억을 헤이며
길고 긴 밤을 세워야지
나의 외로움 달래야지
이별은 두렵지 않아
눈물은 참을 수 있어
하지만 홀로 된다는 것이
나를 슬프게 해
지난날들을 되새기며
수많은 추억을 헤이며
길고 긴 밤을 세워야지
나의 외로움 달래야지
이별은 두렵지 않아
눈물은 참을 수 있어
하지만 홀로 된다는 것이
나를 슬프게 해
이별은 두렵지 않아
눈물은 참을 수 있어
하지만 홀로 된다는 것이
나를 슬프게 해
SBS 아카이브 K - 전설의 무대 발라드 Part 1
변진섭
2021.01.04

앨범설명

[전설의 무대 아카이브 K[ 1회: 발라드의 계보
 
한국 음악의 역사를 기록하고, 그 무대를 남기기 위한 슈퍼 프로젝트 [전설의 무대-아카이브 K]의 문을 여는 장르는 발라드다. 
 
한국인이 가장 선호하는 장르로 꼽힌다. 불특정 다수를 상대로 하는 선호 장르 조사에서 단 한 번도 1위를 빼앗긴 적이 없다. 그만큼 한국 대중이 많이 듣고, 또 부르는 장르가 발라드다. 하지만 발라드를 하나의 장르로 분류하는 지역은 별로 없다. 한국이 대표적이다. 서양 고전 음악의 한 형식을 일컫는 말에서 출발한 발라드는 팝계에서는 느리고 서정적인 음악을 통칭하는 말로 쓰인다. ‘스타일’일 뿐 ‘장르’는 아니다.
 
 
우리는 언제부터 발라드를 하나의 장르로 인식하게 됐을까? ‘발라드 가수’라는 말은 언제부터 등장했을까?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한국형 발라드’라는 개념을 생각해봐야 한다. 다른 장르에서 ‘한국적’이라는 수식어는 보통 한국의 전통과 결합한 음악에 사용된다. ‘한국형 록’, ‘한국형 재즈’등이 그렇다. 하지만 발라드에서는 그렇지 않다. 1980년대 중반, 유재하와 이문세-이영훈 콤비가 등장하며 팝을 즐겨 듣던 젊은층이 대거 가요 시장으로 넘어왔다. 이들의 공통점이 있다면 ‘뽕끼’를 뻬고 클래식과 재즈의 작법을 도입한 세련된 음악을 만들었다는 점이다. 
 
이문세-이영훈 콤비와 유재하에 의해 시작된 한국 발라드의 역사는 처음 ‘발라드 황태자’라 불렸던 변진섭의 등장과 함께 하나의 계보가 됐으며 90년대 후반 조성모가 그 왕조의 역사를 이었다. 
 
한국 발라드의 역사를 만든 사람들, 그 사람들이 만들어낸 발라드의 문법. 그리고 발라드가 걸어오며 남긴 숨은 이야기들까지, [아카이브 K]가 그 역사속으로 들어간다. 과거와 지금의 연결고리를 찾으러 간다.
 
 
1. [홀로 된다는 것] / 노래 변진섭 / 작사 지예 / 작곡 하광훈 / 편곡 정지찬 조커 / 드럼 강수호 / 베이스 서영도 / 건반길은경 안준영 / 기타 정재필 / 퍼커션 조재범 / 코러스 원현정 정미란 / 건반 정지찬 조커
 
80년대 중반 이문세-이영훈 콤비가 있었다면 후반에는 변진섭-하광훈 콤비가 있었다. 데뷔와 동시에 변진섭을 발라드의 황태자로 군림시킨 이 노래는 그의 미성과 애절한 멜로디가 잘 조화를 이룬 곡이다. 80년대 후반 한국 발라드를 이야기할 때 결코 빼놓을 수 없는 명곡.
 
2. [아시나요]/ 노래 조성모 / 작곡 이경섭 / 작사 강은경 / 편곡 정지찬 고영환 / 
드럼 강수호 / 베이스 서영도 / 건반길은경 안준영 / 기타 정재필 / 퍼커션 조재범 / 코러스 원현정 정미란 / 건반 정지찬 고영환 / 첼로 이서연
 
조성모의 최전성기를 상징하는 곡이자 음반 시장의 마지막 전성기를 상징하는 노래다. 2000년 9월 발매와 동시에 모든 음악 차트를 장악하며 조성모를 ‘발라드의 황태자’에서 ‘황제’로 격상시켰다. 미성의 상징과도 같았던 조성모의 목소리는 2000년이나 2020년이나 여전하다는 걸 확인할 수 있다.
반응형